512 | 신라 이찬(伊飡) 이사부(異斯夫), 우산국을 정벌 |
---|---|
신라 지증왕 13년 아슬라주(阿瑟羅州: 현재의 강릉) 군주 이사부(異斯夫)가 우산국을 정벌하여 울릉도와 독도가 신라에 복속됨. 참고문헌 : 『三國史記』 卷4 新羅本紀4 智證麻立干 13年6月條, 『三國史記』卷44 列傳4 異斯夫條, 『三國遺事』卷2 智哲老王 | |
1145 | 『삼국사기』 편찬 |
512년 우산국이 신라에 복속되었음을 서술. 원문: "지증왕 13년(512) 여름 6월에 우산국(于山國)이 항복하고, 해마다 토산물을 바쳤다." | |
1417 | 울릉도 주민 쇄환(刷還) |
고려말~조선초 왜구가 노략질을 자행하자 섬 주민을 보호하기 위해 1417년 (태종17년) 조정은 무릉도(武陵 : 울릉도)에 주민의 거주를 금하고 거주민을 육지로 나오게 하는 쇄출(刷出)정책을 실시함. 참고문헌 : 『太宗實錄』 卷33, 34. | |
1435 | 「신찬팔도지리지」편찬) |
1432년(세종 14) 1월에 편찬된 조선왕조 최초의 지리서. 독도에 대한 내용이 『세종실록지리지』(1454년)에 그대로 실림. | |
1454 | 『세종실록』「지리지」 편찬. |
원문: "우산(于山)과 무릉(武陵) 두 섬이 (울진)현의 정동쪽 바다에 있다." 의의: 우산도(독도)와 무릉도(울릉도)가 별개의 섬이고, 울릉도에서 날씨가 맑은 날에만 보이는 유일한 섬은 독도임을 감안할 때, 우산도가 곧 독도이고 조선의 영토임을 증명함. | |
1625 | 일본, 울릉도 도해면허 |
일본 도쿠가와 (德川)막부, 호키국(伯耆國: 돗토리번(鳥取藩)의 일부) 태수(太守)에게 요나고(米子)의 오야(大谷 )·무라카와(村川) 양가(兩家)에 대해 울릉도 도해(渡海)를 면허. | |
1693 | 안용복 일본으로 납치 |
안용복(安龍福), 박어둔(朴於屯), 일본 오야(大谷) 선원들에 의해 일본으로 납치, 울릉도 독도가 조선땅임을 주장. | |
1694 | 수토(搜討)제 실시 |
장한상(張漢相), 울릉도를 조사하고 삼척으로 귀환 정기적으로 울릉도를 수토(搜討)하기로 결정 ※ 울릉도 수토제도(1697~1894): 안용복 사건 이후 3년에 한 차례씩 관원을 파견하여 울릉도를 살펴보도록 한 제도 | |
1696 | 일본, 울릉도 독도 조업금지, 안용복 2차 도일(渡日) |
일본 도쿠가와(德川) 막부, 울릉도 도해금지령을 대마번(對馬藩)에 전달 - 안용복(安龍福) 등 울릉도에 출어(出漁)한 일본 어선을 추격하여 자산도(독도)까지 따라가그들을 쫓아냄. | |
1849 | Rochers Liancourt(Liancourt Rocks) |
프랑스 포경선(捕鯨船) 리앙쿠르(Liancourt)호, 독도를 발견하고, 'Rochers Liancourt(Liancourt Rocks)' 로 명명 | |
1870 | 일본, 독도가 한국 땅임을 자인 |
일본 외무성 관리 (佐田白茅 등), '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부속'이라는 사실을 재확인 -"죽도(울릉도)와 송도 (독도)가 조선 부속으로 되어 있는 전말" ※ 일본 외무성과 태정관이 지시한 조사사항에 대한 복명서인 「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(朝鮮國交際始末內探書)」에 기록 | |
1877 | 일본, "울릉도, 독도는 조선땅" 공식적으로 선언 |
일본 최고행정기관인 태정관(太政官), 지적 편찬상 문제가 된 울릉도 외 1도(독도)가 일본령이 아님을 내무성(內務省)에 지령 - 태정관 지령: "품의한 취지의 죽도(울릉도)외 1도의 건에 대하여 일본은 관계가 없다는 것을 명심할 것" | |
1882 | 울릉도 검찰 |
울릉도 검찰사 이규원(李奎遠) 일행, 울릉도를 검찰 | |
1900 |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공포:울릉도(독도) 행정구역 편제 |
칙령(勅令) 제41호 '울릉도(鬱陵島)를 울도(鬱島)로 개칭(改稱)하고 도감(島監)을 군수(郡守)로 개정(改正)한 건(件)'을 제정 반포, 이 칙령 제2조에 울도군(鬱島郡)의 관할 구역으로 울릉전도(鬱陵全島) · 죽도(竹島)와 함께 석도(石島, 독도)를 규정 참고문헌: 禹用鼎의 『鬱島記』 『高宗實錄』 卷40, 『官報』 제1716호 光武 4年 10月 27日. | |
1905 | 일본의 독도 강탈 |
일본, 1905년 2월22일 시마네현 고시 (島根縣告示) 제40호를 통해 소위 독도의 영토 편입을 고시 | |
1906 | 시마네현 민 · 관 시찰단, 울릉도 상륙 |
시마네현 민 · 관 시찰단이 울릉도에 상륙, 군수 심흥택(沈興澤)을 방문하여 독도가 일본 영토로 편입되었음을 알림. - 강원도 관찰사서리 춘천군수 이명래(李明來), 의정부 참정 대신에게 울도 군수 심흥택(沈興澤)의 보고를 재보고 - 의정부 참정대신 , 강원도 관찰사에게 지령 제3호로 독도의 일본 '영지지설(領地之說 )' 을 부인하고, 독도의 형편과 일본인들이 어떻게 행동하였는지 다시 조사 보고할 것을 지령 | |
1910 | 한·일 강제 병합 |
한·일 강제 병합 | |
1945 | 광복 |
광복 | |
1946 | 연합국최고사령부지령677호 |
연합국총사령부는 각서 제677호를 내려 일본에서 제외되는 섬으로 울릉도와 독도를 언급 | |
1951 |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체결 |
일본이 한국에 대하여 모든 권리, 권원, 청구를 포기하는 지역에 제주도 , 거문도, 울릉도를 대표 적으로 예시 | |
1952 | 평화선 선포 |
「인접해양에 대한 주권에 관한 선언」(국무원 고시 제14호)을 공포(일명 평화선) -일본 정부 , 평화선 선포에 항의함과 동시에 독도에 대한 한국 영유권을 부정하는 외교문서를 보내옴. | |
1953 | 독도 경비 |
1953년 4월부터 울릉도 거주민을 중심으로 간헐적인 독도 경비를 실시하다 1954년 4월 의용수비대 확대(33명) 개편 | |
1953~65 | 한·일 간 독도에 대한 정부의 견해 |
한·일 간 독도에 대한 정부의 견해가 구술서의 형태로 왕복, 일본측 총4회, 한국측 총3회에 걸쳐 진행됨. | |
1954 | 독도등대 설치 |
1954년 8월 독도등대를 설치 점등하고, 세계 각국에 등대설치 사실 통보 | |
1954(1962) | 본 정부, '독도문제 국제사법재판소 회부' 제의 |
한국 정부 , 일본 정부의 '독도문제 국제사법재판소 회부' 제의를 거부 | |
1956 | 경찰, 독도경비임무 인수 |
1956년 12월 독도 의용수비대의 경비임무를 국립경찰(울릉경찰서)이 인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음 | |
1965 | 한·일 기본관계조약 체결 |
독도문제는 제외하고 대한민국 정부를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인정 | |
1982 | 독도 '천연기념물 336호' 지정 |
1982년 11월 16일 동해안 지역에서 유일하게 바다제비·슴새·괭이갈매기의 대집단이 번식하여 독도를 천연기념물 336호 ‘독도 해조류번식지’로 지정하였으며 1999년 12월 독특한 식물들이 자라고, 화산폭발에 의해 만들어진 섬으로 지질적 가치 또한 크고, 섬 주변의 바다생물들이 다른 지역과 달리 매우 특수하여 '독도 천연보호구역'으로 명칭을 변경함 | |
1997 | 독도 ‘특정도서 지정’ 관리 |
1997년 12월 13일 제정한 ‘독도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존에 관한 특별법’(법률 제5447호) 및 2002년 8월 8일 환경부 고시(제2002-126호)에 의해 독특한 자연환경과 해양생물이 다양하고 풍부한 독도를 유지하기 위해 특정도서로 지정 | |
1998 | 한·일간 신한일어업협정 체결 |
- | |
1999 | 천연기념물 제 336호 독도천연보호구역 |
독도를 '천연기념물 제 336호 독도천연보호구역'으로 명칭 변경 | |
2000 | 독도리 행정구역 승격 |
2000년 4월 7일 울릉군 조례 제1395호로 독도리가 행정구역으로 승격됨에 따라 독도의 행정구역이 종전의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 산42~76번지에서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산 1~37번지로 변경 | |
2005 | 동북아의 평화를 위한 바른역사정립기획단 설치 |
일본 시마네현, 소위 '죽도의 날' 제정 우리 정부, '동북아의 평화를 위한 바른역사정립기획단' 설치 | |
2006 | 동북아역사재단 출범 |
- | |
2007 | 일본 시마네현 소위 '죽도문제연구회',『최종보고서』제출 |
- | |
2008 | 일본 시마네현 소위 '죽도문제연구회',『최종보고서』제출 |
일본 외무성 홈페이지 , 소위 "죽도"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10 개의 포인트 게재 7.14, 일본 중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독도 명기 8.14,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 개소 |
출처 : 국립해양 조사원.
'독도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태정관(太政官) 지령. -1877- (0) | 2020.12.30 |
---|---|
독도관련 링크. (0) | 2020.12.30 |
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인 역사적 증거. (0) | 2020.12.30 |
1695년 돗토리 막부 시대의 일본 기록. (0) | 2020.12.30 |
독도의 지리적 요약. (0) | 2020.12.30 |
:
댓글 0
댓글을 달아 주세요